건강한 발도르프 학교의 발전을 위한 운영 안내서

건강한 발도르프 학교의 발전을 위한 운영 안내서
: A Working Guide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y Waldorf Schools
북미 발도르프 학교 연합을 위한 자료
for Members of the Association of Waldorf Schools of North America
▒ 자료 이용 안내
이 자료는 북미 발도르프 학교 연합(AWSNA;Association of Waldorf Schools of North America school) 출판사 Waldorf Publications와 계약으로 발도르프 청소년 네트워크 도서출판 푸른씨앗에서 홈페이지 회원에게 무료 다운로드 파일로 제공합니다.
도서출판 푸른씨앗은 한국의 발도르프 학교와 학교 설립을 준비하는 단체의 건강한 성장을 돕기 위하여 전체 원문 중 부록을 제외한 본문을 우선 번역하였으며 아직 교정이 미비한 상태이지만 2015년 새롭게 운영을 준비하는 발도르프 학교를 돕고자 보다 빨리 자료를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본문을 읽던 중 미비하거나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이나, 문의 게시판, 전화, 이메일 greenseed@hotmail.co.kr 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책 소개 (서문 중에서)
이 책을 이용하는 방법의 하나는 자율적 점검을 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 여기에 있는 질문들을 이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여러분과 여러분의 학교에 도움을 주는 많은 사람들이 어떤 일을 하는 데 있어서 해결책은 오직 하나만 있다는 편협한 사고에 빠지지 말고 자신들의 행위를 그 자체로 바라보기를 원한다. 나아가 왜 그것을 하고 있는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스스로에게 질문하고, 그 동기를 분명히 밝히면서 그것을 더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를 바란다. 우리의 목표는 학교가 건강하게 성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동시에 우리는 이러한 매뉴얼을 만드는 일이 많은 위험을 동반한다는 것을 알고 있고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히고 싶다.
첫째 우리는 문제에 대해 구체적이고 방법론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으려고 노력해 왔다. 그러나 우리의 제안이 처방전처럼 받아들여질 위험은 항상 존재한다. 핵심은 개별 학교가 스스로 결정해야 한다는 점이다. 우리는 모든 학교가 자신들의 상태에 따라 이 책에 씌어진 내용을 진지하게 고려하기를 기대한다. 하지만 각 단계마다 사는 지역, 학교 공동체, 함께 일하는 동료들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는 당신이 맡고 있는 아이들의 구체적 요구 또한 반영되어야 한다.
그리고 우리의 작업이 오직 과거의 경험에서 축적된 것만을 기술하여 혁신의 날개를 꺾고 진정으로 해답을 찾으려는 노력에 찬물을 끼얹을 위험도 있다. 우리는 모든 질문과 제안에 대해 단 하나의 해결책만이 있다고 받아들여야 하는지 의문이다. 우리는 개별 학교들이 이러한 원칙과 개념을 가지고 작업을 하면서 좀 더 폭넓은 시야를 갖고 더 효과적인 방법들을 찾아낼 수 있으리라 믿는다.
마지막으로 신생학교는 이 모든 것을 겪게 될 것이고 이 책의 내용을 모두 읽고 나서 해야 할 일이 얼마나 방대한지 놀라게 될 것이다. 사실 우리가 여기에 그려 놓은 것은 지레 겁먹을 만한 규모의 계획이다. 하지만 물러서지 말고 “이 책을 이용하는 방법”이라는 부분을 잠깐 훑어보자.
이 책을 이용하는 방법
이 책을 이용하기 위한 세 가지 지침이 있다.
1. 책임의 범위를 분명히 나눈다.
2. 현실적인 목표를 세우고 우선순위를 정한다.
3. 전문가의 도움을 구한다.
....
이 책의 목적은 그 공동체가 처한 가장 시급한 문제가 무엇인지 구체화하고, 그 필요를 충족시켜주는 자원을 어디서 찾을 수 있는지 알려주는 것이다.
▒ 차례
서문
공동체 안에서 발도르프 교육과 인지학을 바라보는 관점에 대한 이해와 합의
교육공동체의 성장
교사 교육 및 재교육
동료 장학, 평가 그리고 멘토링
이사회
터전과 건물 등의 물리적 환경
운영/재정/법률
영구 터전
교과 계획, 과정과 개발
정신과학에 근거한 교사회의 협력작업
- 아동관찰, 교육학연구, 절기행사, 예술활동, 각종연구및 연구내용공유, 전기작업이나 의사소통 훈련 등 사회성에 바탕을 둔 여러가지 연습들, 정신세계와 의식적인 관계맺기, 교사회의, 교사연수 참석
지도력과 공동체의 발전
행정과 조직효율성
좋은 자료 나눠주셔서 고맙습니다 ~ ^^